본문 바로가기

화학/기출풀이

(76)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11.17.) 화학2 풀이 [1번 ~ 12번] 0. 들어가기 서울대에서 과탐2 필수 응시 조건을 풀어버린 스노우볼이 올해 어떻게 굴러갈지 궁금하다. 물화생지2는 안그래도 응시자수가 얼마 없었는데, 앞으로의 학생들은 2과목을 응시할 이유가 더더더더욱 없어졌다. (굳이 왜?) 원래부터 그들만의 배틀 필드였는데, 이탈 역시 상위권 학생들 위주로 이뤄졌을 것이기 때문에 등급컷이 요동치고 과랍어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물론, 매년 빠짐없이 3학년 화학2 수업을 주당 3시간씩 이론으로 꽉꽉 채워 진행하는 입장에서, 수능을 위한 수업을 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좋은건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차피 대학가서 일반화학 들어야 할 학생들이 대부분이기에 9월까지 모든 진도를 끝내주는 조건으로 학기초 협상을 했는데, 최상위 등급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올해가 기회가 ..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2023.6.1.) 화학1 3점 문항 풀이 0. 들어가기 모든 문항을 모두 풀어 정리해두기에는 시간이 너무 지날 것 같아서 3점 문항만 풀이를 해둔다. 요즘 시간을 끌기 위해, 적은 정보만 주고, 이리저리 꼬아댔던 경향에 비하여 3점 문항은 전체적으로 쉽게 출제되었던 것 같은 느낌이 있다. 하지만, 오히려 비킬러 2점 문항 중에 시간이 걸렸을 것 같아 보이는 문제가 몇몇 보이니, 학생들이 느끼는 체감 난이도는 비슷했을 것 같다. 여전히 수능 화학에 대해서는 마음에 드는 부분도,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도 함께 있다. 메디컬 계열을 희망하거나 인서울권 이공계 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 외의 관심을 받기 점점 어려워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교실에는 메디컬 계열과 인서울권 이공계 학과를 진학하는 학생 비율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적다. 개인적으로는 그저 ..
2024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2023.6.1.) 국어 지문 [8~11번] 0. 들어가기 3월 모의고사에 이어 두 번째, 비문학 지문으로 이번에는 활성화 에너지가 나왔다. 사실, 활성화 에너지라기보다 고체 촉매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고체 촉매를 구성하는 활성 성분, 지지체, 증진제에 대한 설명들이었다. 순수 화학이라기보다 화학 공학, 재료 공학에 가까운 내용인 것 같았다. 그래도 친숙한 용어가 드문드문 있어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는데, 지문 중간 부분에서는 학생들에게 보여줬던 암모니아 합성 메커니즘 이미지(그림 1)가 떠오르기도 했다. 이번에도 지난 3월 학력평가 비문학 지문(294)처럼 출제된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이나 구조는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금씩 보충하고, 끊어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 용해도와 결정화 공정(294) https://stac..
2023학년도 3월(3.23.)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14~17번 지문] 2023학년도 고3 3월 학력평가(서울특별시교육청) 국어 지문을 내 스타일대로 재작성해 보았다.(화학 풀이보다 재미있다.) 대부분은 문맥을 고치지 않으려 노력했으나, 작성하다보니 내 호흡에 맞춰 끊거나 내용을 첨가한 부분이 여럿 있다. 관련 이론을 모르는 채로 그림도 없이 글만 읽고, 완전하게 이해했다면 물리와 화학에도 재능이 있어 보이니 진지하게 관련 진로도 고려해 주길 부탁한다. 세부적인 지식은 많이 부족하지만, 내가 아는 화학 범위 내에서 풀어서 서술해 보았다. 다행히도 14 ~ 17번 문제는 풀고 답을 확인해 보았는데 다 맞긴 했다. (휴~) 1. 용해도와 결정화 용해도(solubility)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용매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으로, 보통 용매 100g에 녹을 수 ..
2022학년도 10월(10.12.)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 2022학년도 10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 9, 10, 12, 14, 15, 16, 17, 18, 19, 20번 한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문제 풀이 업로드를 하지 않았다. 매번 문제를 찾아 풀어보기는 하지만, "이게 과연 화학 문제인가?"하는 의문을 갖게하여 풀이를 업로드해야할 의욕이 생기지 않았다. 사실, 맨 뒷 장의 킬러 문항들은 나도 빠르게 풀어내지도 못하고, 풀어내도 기쁘지 않고, 아직도 문제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화학적 의미도 못찾겠다. ... 9. 정답: ② ㄴ 더보기 그저 시간을 끌기 위한 이런 문제 싫다. 원소별로 전자배치를 해보고, 하나씩 따져주면 되기에 어려운 문제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전자가 2개 들어있는 오비탈 수와 p-오비탈에 들어있는 전자수의 비율이 무슨..
2022학년도 10월(10.12.)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풀이 [20번] 2022학년도 10월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풀이 [20번] 20. 정답: ④ 50 3점 문항 풀이를 작성하던 중에 너무 부가적인 설명들이 길어져서, 별도의 글로 뺐다. 역시나 2가 산-염기를 혼합하는 문제이다. 벌써부터 쉽지 않을 예정이다. 그런데, 이번 문제는 더더욱 처음에 어떤 선택을 했느냐에 따라 풀이 시간이 매우 차이가 날 수 있기에, 그다지 좋아 보이지는 않는다. (물론, 산-염기 중화 반응을 이와 같은 유형으로 출제하는 것 자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힘들...) 각설하고, 일단, 혼합 용액 I, II, III 모두 염기의 양은 일정하다. 넣어준 산의 몰수 따라 혼합 용액의 액성이 산성, 중성 또는 염기성이 될 수 있다. 혼합 용액이 산성이라면, H+, X2+, (Y- 또는 Z2-) 이 존..
2014학년도 3월(3.12.)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화학1 풀이 [20번] 2014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 풀이 [20번] 정답 : ⑤ ㄴ, ㄷ 풀이 : 일정 온도, 압력 조건에서 반응 전후의 부피 비가 피스톤 높이로 주어져있다. 피스톤의 부피는 용기 내 존재하는 기체 분자의 몰 수에 비례한다. 화학 반응식의 양적 관계 문제이다. (가)의 반응 전 기체 입자 수를 통해 몰 수와 부피 관계를 알 수 있다. 4 mol에 해당하는 부피가 8 부피이다. 1 mol 당 2 부피씩 차지한다. 기체 분자 1 mol = 2 부피 따라서 (가)의 반응 후 남아있는 기체 몰수는 7 부피에 해당하는 3.5 mol이다. 같은 방법으로 (나)의 반응 전 기체 몰수는 8부피에 해당하는 4 mol이며, (나)의 반응 후 기체 몰수는 6 부피에 해당하는 3 mol이다. (가), (나) 모두 ..
2019학년도 4월(4.10.) 고3 학력평가 화학1 풀이 [10번] 2019학년도 4월 고3 학력평가 화학1 풀이 [10번] 정답 : ② ㄴ 풀이 : 문제에 주어진 정보는 다음과 같다.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는 기체의 부피가 곧 입자수(몰수)에 해당한다. (아보가드로 법칙) 원자량은 X > Y 이며, 자연스레 분자량은 XY2 (가)라는 뜻이다. 2. 표에 주어진 (가)와 (나)의 부피를 40V [L]로 같게 맞춰보자. 부피를 같게 해준다는 것은 (가), (나) 분자의 몰수를 같게 만들어준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금부..
2021학년도 7월(7.7.) 고3 학력평가 화학1 풀이 [19번] 2021학년도 7월 고3 학력평가 화학1 풀이 [19번] 정답 : ② 4/5 풀이 : 실린더 속 기체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므로, 아보가드로 법칙에 따라 기체 전체 부피는 기체 몰수에 비례한다. 질량 보존 법칙에 따라 반응 전후 질량은 일정하므로 반응 전후 밀도는 전체 부피(몰수)에만 의존한다. 기체 밀도 ∝ 1/몰수 [실험 I]에서 반응 전후 밀도 변화가 없다는 것은 반응 전후 부피 변화, 몰수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화학반응식의 반응물의 계수 합과 생성물의 계수 합이 같다. 1 + b = 1 + d , b = d 반응 전 기체 A, B 질량, 주어진 밀도를 이용하면, [실험 I]과 [실험 II]의 반응 전 기체 몰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반응물과 생성물의 계수 합이 같기 때문에 반응후 기..
2022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2021.6.3.) 화학1 3점 문항 풀이 0. 들어가기 복직 후 학교 생활이 바쁘다는 핑계로 모의고사 풀이 업로드를 하지 못했다. 그런데 여름방학 방과후학교로, 화학1 개설이 거의 확실시되어 이를 준비할 겸 풀이 업로드를 마음먹었다. 물론, 2회 고사가 끝난 지 일주일밖에 안되었고, 학기말 성적 처리, 3학년 생기부 정리와 모든 학년 세부능력 특기사항 작성 등 이것저것 학기 마무리가 더 바쁘지만, 이럴 때일수록 급하지 않은 일이 재미있는 법이다. 마치 학생 시절 시험기간만 되면, 거들떠보지 않던 다큐멘터리와 뉴스가 재밌듯 말이다. 지난 6월 3일에 시행된 평가원 수능 모의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를 업로드한다. 물론, 풀이와 해설 영상이 EBSi 사이트와 Youtube EBS 채널에 이미 업로드되어 있기에 기존 풀이와 영상만 해도 충분히 해결..
2017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5번 풀이 2017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5번 풀이 * 정답 : ① 21/20 * 풀이 : 묽은 수용액의 삼투압을 비교하는 문제로, 결국 총괄성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묻는 문제다. 용액의 총괄성이란, 용질 입자의 종류에는 무관한 입자수에만 의존하는 성질이다. 총괄성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이 있다. 결국, A 용액과 B 용액 내 용질 입자의 개수(몰수)를 비교하면 된다. 이때, 주어진 반트호프 인자(i)는 용질의 해리도와 관련된다. 포도당과 같은 비해리성 용질은 반트호프 인자가 1인 반면, 해리성 용질은 1 보다 큰 값을 갖게 된다. 염화 나트륨(NaCl) 1 몰이 물에 녹아 Na+ 이온과 Cl- 이온으로 완전하게 해리된다면, 염화 나트륨의 반..
2017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8번 풀이 2017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8번 풀이 * 정답 : ③ 12.5d * 풀이 : (가) 용액은 질량퍼센트, (나) 용액은 몰랄농도로 주어졌다. (나) 용액은 더이상 고체 NaOH가 용해되지 않는 포화 용액이다. 문제 상황은 (가)의 20% 용액을 (나)의 포화 용액에 넣으면 어떻게 되겠는가를 묻고 있다. 만약 불포화 상태의 (가) 용액이 (나)에 첨가된다면, 바닥에 깔린 고체 NaOH가 추가로 용해될 것이며, (가) 용액도 이미 포화 상태라면, 더 용해되거나 석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변화 없다. 결국 (가) 용액이 포화상태인지 아닌지에 따라 일어나게 될 결과는 달라진다. 따라서 (나)의 NaOH 포화 용액 농도를 알아야 한다. 1) 몰랄 농도(m) → 질량 퍼센트 농도(%)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