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기출풀이 (76)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1학년도 3월(3.25.) 고3 학력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 2021학년도 3월(3.25.) 고3 학력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 [ 9번, 11번, 12번, 13번, 14번, 16번, 17번, 18번, 19번, 20번 ] 9번 정답 : ⑤ ㄱ, ㄴ, ㄷ 풀이 : 17 번 염소(Cl)는 3 주기, 19 번 포타슘(K)과 20 번 칼슘(Ca)은 4 주기 원소이다. 세 원소 모두 가장 안정한 이온을 형성할 경우 아르곤(Ar)과 동일한 1s2 2s2 2p6 3s2 3p6 의 전자 배치를 갖는다. (등전자 이온) 이 때,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는 포타슘(19K), 칼슘(20Ca)은 원자 반지름보다 이온 반지름이 작아지지만, 껍질 수 변화 없이 하나의 전자가 유입되는 염소(17Cl)는 이온 반지름이 원자 반지름보다 조금 커진다. 따라서 포타슘(K)과 칼슘(Ca)은 [이온.. 2020학년도 10월(10.27.) 고3 학력평가 화학2 풀이 [20번] 2020학년도 10월(10.27.) 고3 학력평가 화학2 풀이 [20번] [정답] ④ 8/15 [접근] 1. 갇혀있는 기체의 몰수는 일정하다. 온도가 일정하다면, PV=nRT에서 n과 T가 일정한 상태이므로, PV를 몰수로 가정할 수 있다. 2. 피스톤 고정 장치를 제거하면, 피스톤 왼쪽과 오른쪽의 압력이 같아질 때까지 피스톤은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 양쪽의 압력 평형에 도달한다. 3. 구하고자 하는 것은 초기 B의 압력(P1)과 반응직후, 고정장치를 제거하기 전의 B의 부분압력(P2)의 곱이다. P1 x P2 = ? [풀이] 온도(T) 일정, 기체는 각각 나뉘어 갇혀 있으므로 몰수(n)는 일정하다. 각 기체의 몰수(n)는 주어진 압력(P)와 부피(V)의 곱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과정 (가)에서 기.. 2017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2016.9.1.) 화학1 풀이 [20번] 2017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2016.9.1.) 화학1 풀이 [20번] [정답] ④ 1/3 [풀이] 폴더 정리를 하다가 이전에 만들어둔 풀이 pdf를 우연히 찾았다. 아마도 학생 질문으로 급하게 만들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전 교육과정이지만 화학 반응의 양적관계 부분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기에 혹시나 하여 남겨둔다. 1. 반응물 A와 생성물 B, C는 모두 기체이다. 온도와 압력이 일정한 조건에서 기체의 부피와 몰수는 비례한다. 밀도는 질량/부피이므로, 기체의 부피(몰수)에 반비례 한다. 기체의 부피 ∝ 몰수 (온도, 압력 일정) , 기체의 밀도 ∝ 1/부피 2. 따라서 그래프로 주어진 밀도(상댓값)의 역수값는 해당 지점에서의 전체 기체 부피(몰수)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밀도의 역수값은 다음과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12.6.) 화학2 풀이 [19번]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12.6.) 화학2 풀이 [19번] [정답] ② ㄴ [개요] 영역상으로는 화학 반응 속도론 문제다. 화학 반응 속도론은 보통, 반감기를 통해 반응 차수를 결정하고, 반응 차수와 주어진 농도를 통해 속도 상수를 결정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개정된 2015 화학 II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반응 속도식은 차수에 따라 다양하게 다룰 수 있지만, 반감기는 1차 반응으로 제한하고 있다. 이 문제 역시 1차 반응이며, 반감기가 일정하다는 정보를 활용하지만, 구체적인 수식이 활용되지는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 - 과학과 [제2015-74호] [12화학II 03-02] 자료 해석을 통하여 반응 속도식을 구할 수 있다. [12화학II 03-03] 1차 반응의 반감기.. 2013 MEET/DEET 자연과학2(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의학계열 07번] 2013 MEET/DEET 자연과학2(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의학계열(MEET) 07번, 치의학계열(DEET) 09번 ] [정답] ⑤ ㄱ, ㄴ, ㄷ[개요] 의학계열 7번, 치의학계열 9번 문제입니다. 용액의 농도와 밀도를 바탕으로 용질의 질량, 몰수를 찾고, 최종적으로는 라울의 법칙을 통해 용액의 증기압을 찾아야 합니다. 결국 용질의 양만 찾으면, 내용을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풀이] 초기 상태인 그림 (가)와 평형 상태인 그림 (나)를 비교해보면, A 용액은 부피가 늘고, B 용액은 부피가 감소합니다. 즉, 비커 A 용액의 증기압보다 비커 B 용액의 증기압이 큼을 뜻합니다. 농도가 진할수록, 용질의 몰분율이 높아지고 증기압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초기 용액의 농도는 비커 A > 비커 B ..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12.6.) 화학1 3점 문항 풀이 좀 늦긴 했지만 올해 수능 풀이를 업로드한다. 아이패드로 풀고, 해설을 위한 글을 따로 작성하는 일은 사실 조금(많이) 귀찮다. 문제 위에 손으로 스윽스윽 쓰면서 동시에 말로 해설하면 얼마 걸리지 않을 문제도 글로 쓰면, 시간을 꽤 잡아먹는다. 단어 선택이라든지, 문맥 등에 신경이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에디터에서 수식 입력 정도만 돼도 한결 수월할 것 같은데, 태그로 화학식 윗첨자 아랫첨자를 일일이 지정해주는 상황이다보니 시간이 배로 걸린다. 그래도 화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현재의 누군가와 감각이 떨어져 허덕거릴 미래의 나에게는 어느정도 필요한 정보이기에, 귀찮음을 뒤로하고 풀이를 올려둔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12.6.) 화학1 3점 문항 풀이 3, 4, 7, 9, 11, 13, 1.. 2018 MEET/DEET 자연과학2(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4번] 2018 MEET/DEET 자연과학2(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4번] - 용액의 농도와 변환 - [정답] ① ㄱ [필요개념] 용액의 농도(퍼센트 농도, 몰농도, 몰랄농도), 농도의 변환 [풀이] 용액 단위의 환산 문제다. 퍼센트 농도, 몰농도, 몰랄농도 사이의 변환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야 쉽게 해결가능하다. 퍼센트 농도가 a [%]로 주어진 경우, 용액의 질량은 100 [g] 용질이 a [g]으로 가정한다. 퍼센트 농도[%]를 몰농도[mol/L]로 변환하는 일은 다른 농도 변환에 비해 간단한 편이다. 용질(분자항)은 몰수로, 용액(분모항)은 부피로 변환하면 된다. - 용질의 질량 [g] → 용질의 몰수 [mol] (용질의 화학식량 [g/mol]을 이용) - 용액의 질량 [g] → 용액의 부피 [L].. 2021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21번~25번) [이전 글]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01~05번) (링크)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06~10번) (링크)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11~15번) (링크)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16~20번) (링크) 2021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21번~25번) 정답 : ⑥ ㄴ, ㄷ 풀이 : 문제에 주어진 그래프의 반감기를 바탕으로 전체 반응 차수를 결정해야 한다. [A]의 농도가 0.2 M에서 0.1 M로 절반 줄어드는데 걸린 시간은 2 분이며, 0.1 M에서 0.05 M로 재차 절반 줄어드는데 걸린 시간은 4 분이다. 즉, 반감기가 2 분에서 4분으로 늘었으며, 이는 해당 반응이 A에 대한 2 차 반응임을 알려준다. 즉, 반감기는 t.. 2020학년도 10월(10.27.) 고3 학력평가 화학1 3점 문항 풀이 지난 27일 고 3 마지막 학력평가가 시행되었다. 대부분 수시 접수를 마치고, 살짝은 애매한 분위기의 교실 상황이 머릿속을 스친다. 학생들마다 수시 원서 접수 유무, 수시 전형, 지원한 학교 등에 따라 서류 100%, 학업 면접 유무, 논술 고사, 수능 최저 유무 등 처한 상황이 모두 다르다 보니, 일관된 분위기를 유지하기 어렵다. 교실 속 공기에서부터 개개인의 말 못 할 고민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음이 느껴진다. 극도의 예민함부터 극도의 태평함까지 느낄 수 있다. 고3 교실 치고는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사실, 이번 주에 학력평가가 있는지 몰랐다. 결합 이론 관련 글을 마무리하느라, 아이들 할로윈 생각하느라 학력평가를 봤는지도 몰랐다. 휴직 기간이 길어지면서 나도 긴장감이 덜해졌나 보다. 어쨌든 이번 10월.. 2021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6번~20번) [이전글]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01~05번) (링크)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06~10번) (링크) * 2021 PEET 화학추론 풀이 (11~15번) (링크) 2021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6번~20번) 정답 : ⑦ ㄱ, ㄴ, ㄷ ② ㄴ [2020-11-03 정정] 풀이 : 상평형 그림에서 선 위에 놓인 점은 두 상의 평형 상태임을 뜻한다. 따라서 B는 고체와 액체의 상평형, C는 액체와 기체의 상평형 상태를 나타낸다. 점 A는 고체, 액체, 기체가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는 삼중점(Triple point)이다. 상평형 그림에서의 기울기(ΔP/ΔT )는 상변화 과정에서의 엔트로피 변화(ΔS )를 부피 변화(ΔV ) 값으로 나눈 것과 같다. [.. 2021학년도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1번~15번) 이전글 : 2021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5번) (링크) 2021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6~10번) (링크) 정답 : ④ ㄱ, ㄴ 풀이 : 물-에탄올 수용액 A, B, C가 있고, 이를 모두 혼합한 용액을 D라고 하자. 주어진 는 D에 관해 묻고 있다. D에 포함된 에탄올의 양은 a+2a+3a = 6a 이며, 물의 질량은 3.0 kg 이다. ㄱ. 에탄올의 몰랄농도를 비교해보자. 몰랄농도 = 용질의 몰수[mol] / 용매의 질량 [kg]으로 나타낸다. A의 몰랄농도는 a/1.5 이며, D의 몰랄농도는 6a/3.0 = 3a/1.5 이다. 따라서 D의 몰랄농도는 A의 3배이다. (참) ㄴ. 에탄올의 몰농도 = 용질의 몰수[mol] / 용액 전체 부피 [L]이다.. 2021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2020.9.16.) 화학1 풀이 [18번] 2021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2020.9.16.) 화학1 풀이 [18번] 1. 개요 - 화학반응의 양적관계, 질량 [g], 몰질량 [g/mol], 몰수 [mol] 사이의 관계를 활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 사전에 제시된 정보가 주로 실험 II에 집중되어 있다. B가 한계 반응물(모두 반응)이라고까지 주어졌다. 실험 II에서 실마리를 찾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와 C의 몰질량 비도 주어졌기 때문에, A와 C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펼쳐놓는 것이 필요하다. -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몰 비(기체인 경우 부피비)를 반드시 찾아야 한다. 즉, 질량 정보를 몰 정보로 변환해야 한다는 문제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몰질량 [g/mol] * 몰수 [mol] = 질.. 이전 1 2 3 4 5 6 7 다음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