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기출풀이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6번~20번)

728x90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6번~20번)

 

이전 문제(1번~15번) 풀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번~5번 : https://stachemi.tistory.com/93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번~5번)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번~5번) [1번 풀이] ④ 산-염기 중화반응에서 중화점 판단을 위해 산-염기 지시약을 사용합니다. 이 때, 산-염기 지시약의 변색 범위가 중화점에서의 pH를 포함해..

stachemi.tistory.com

6번~10번 : https://stachemi.tistory.com/97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6번~10번)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6번~10번)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1번~5번) : https://stachemi.tistory.com/93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번~5번) 2020..

stachemi.tistory.com

11번~ 15번 : https://stachemi.tistory.com/99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1번~15번)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11번~15번) 이전 문제(1번~10번) 풀이는 이전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번~5번 : https://stachemi.tistory.com/93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stachemi.tistory.com

 

 


 

16번 답 ③

  (가)는 팔면체 d5 고스핀 (약한장), (나)는 팔면체 d6 저스핀 (강한장), (다)는 직선형 d6, (라)는 사면체 d5 입니다. 사면체는 팔면체에 비해 결정장 갈라짐이 작아(팔면체의 약4/9 크기) 대부분 고스핀 착물을 형성합니다.

  Fe{N(SiMe3)2}2 은 벌키한 트리메틸실릴아마이드(trimethylsilyl amide) 리간드 2개와 결합했으므로 직선형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FeCl4]- 는 4개의 리간드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통해 사면체 구조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FeCl6]3- 와 [Fe(CN)6]4- 는 모두 팔면체 구조를 이지만, 약한장 리간드인 Cl과 강한장 리간드인 CN-에 의해 중심 금속의 차이를 가질 것입니다. 물론 중심금속의 전자수도 [FeCl6]3-는 Fe가 d5, [Fe(CN)6]4-는 Fe가 d6이기 때문에 쉽게 (가)와 (나)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 [FeCl6]3-          (나) [Fe(CN)6]4-          (다) Fe{N(SiMe3)2}2          (라) [FeCl4]-

  <보기>를 살펴보면,

ㄱ. (가)의 Cl- 리간드는 (나)의 CN- 리간드보다 약한장 리간드입니다. 중심 금속의 전자 배치가 (가)는 고스핀, (나)는 저스핀임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거짓)

ㄴ. (다)는 직선 구조의 결정장 갈라짐의 형태를 갖습니다. 결정장 갈라짐은 다가오는(결합하는) 리간드 방향과 직접적으로 관련있는 오비탈의 경우 에너지항이 높아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상대적으로 안정해집니다. Fe-N 결합이 z축 위에 있기 때문에 금속의 d오비탈 중 z축 성분, 축 방향 성분을 가진 오비탈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dz2 오비탈이 가장 높은 에너지(꼭대기)를 가지며, dxz, dyz 오비탈은 축방향에 위치하지는 않지만 z축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다음으로 높은 에너지 값(중간)을 갖습니다. 마지막으로 dxy, dx2-y2은 z축과 무관한 xy 성분만을 가진 d-오비탈이므로 가장 낮은 에너지 값(바닥)을 갖습니다. 따라서 dxz 오비탈에는 전자가 1개만 채워집니다. (거짓)

ㄷ. 팔면체(가)가 사면체(라)에 비해 금속에 다가오는 리간드의 수가 많아 결정장 갈라짐의 크기가 큽니다. (참)

2020 PEET 16 결정장이론 풀이

 


 

17번 답 ⑤

  미완성된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찾기 위해 식을 세워야 합니다. 완성시켜야 할 계수가 a, c 2 가지입니다. a와 c를 포함한 식이 최소 2 개가 필요합니다. 평형에서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에서 힌트를 얻어야 합니다.

  그래프의 y축은 몰농도(mol/L)입니다. 문제에서 초기 몰수(mol)는 주어졌지만, 강철 용기의 부피(L)는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온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가)의 농도가 (나)의 농도보다 약 3 배 정도 큰 것으로 보아 (나)의 부피가 (가)에 비해 크다는 것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

  화학 반응식의 계수를 찾기 위해 첫 번째로 사용할 개념은 "온도가 동일한 두 계의 평형상수는 같다." 입니다. 그래프에 평형에서의 농도 값이 바로 주어졌기 때문에 농도평형상수(Kc)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수월합니다. (가)와 (나)의 농도평형상수를 각각 구해주면,

  주어진 (가)와 (나)의 농도평형상수는 같아야 하므로, (i)과 (ii)를 연립하여 ac의 관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사용할 주어진 반응에서의 특징은 평형에서의 반응물 A, B의 농도가 같다는 것과 생성물의 농도는 반응물의 농도의 2배라는 것입니다. 주어진 A와 B의 초기 몰수를 이용하여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의 몰 관계를 살펴보면,

  (iii)식의 양변에 *5를 하여 (iv)식과 연립하면, 두 번째 a c 사이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a = 2 , c = 3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기>를 살펴보면,

ㄱ. c 는 3입니다. (참)

ㄴ. P = RT*(n/V)이므로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A의 부분압력은 A의 몰농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부분압력은 (가)가 (나)보다 큽니다. (거짓)

ㄷ. 주어진 그림이 농도값으로 주어졌으므로, 농도평형상수(Kc)와 압력평형상수(Kp) 사이의 관계를 먼저 살펴보아야 합니다. KpKc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여기서 Δn 은 반응 전 후의 기체 몰수 변화입니다. 다행히 위 반응은 (2+1)몰 → 3몰이 되는 반응이므로, 몰수 변화가 없어 Kc = Kp 가 됩니다. (나)의 몰농도를 이용하여 평형상수를 구하면 값이 8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참)

2020 PEET 17 화학평형과 평형상수 풀이


 

18번 답 ①

  화학반응속도론에 관련된 문제로, 실험을 통해 얻은 속도 법칙과 이 속도 법칙을 만족할 수 있는 반응 메커니즘을 제시하였습니다. 반응 메커니즘이라는 것이 해당 반응이 진행되는 가상의 경로에 해당하기 때문에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화학반응식은 맨 위의 반응과 같아야 합니다. 주어진 <보기>를 살펴보면,

ㄱ. 단계1과 단계2의 화학 반응식을 더해서 위의 [화학 반응식]이 나와야 합니다.

  따라서 (가)에는 우변의 NOH2를 소거해 줄 NOH2와 좌변에 부족한 NO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참)

ㄴ. d[NO]/dt 는 NO의 생성속도, d[H2]/dt는 H2의 생성속도를 뜻합니다. 양변에 (-)부호를 붙여주면 식은 소멸 속도의 의미를 갖습니다. 화학 반응식 상에서 NO 2몰과 H2 1몰이 반응하므로 소멸 속도는 NO가 H2에 비해 2배 빠릅니다. 이를 두 화학종 간의 등식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NO의 소멸 속도 앞에 1/2이 붙어야 합니다. (거짓)

ㄷ. 실험을 통해 얻은 속도 상수 k는 반응 메커니즘을 통해 세부적인 단계별 속도 상수 k_1, k2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느린 단계 2가 속도결정단계(rds)이며, 속도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NOH2]는 반응 중간체인데 상대적으로 단계 1이 빠르고, 평형 반응이기 때문에 사전평형근사법(PEA)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계 1의 평형상수를 이용하여 [NOH2]의 농도를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를 위의 속도식에 대입하면, 속도 상수 k를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습니다. (거짓)

 


 

19번 답 ⑥

  주어진 이온 결정의 단위세포는 양이온인 Mm+와 음이온인 A-로 이루어져 있는 한 변이 a인 입방구조입니다. 금속 양이온은 단위세포의 꼭지점(1/8) 자리에 8개가 존재하며, 음이온은 단위세포의 모서리(1/4) 자리에 12개가 존재하여 화학식은 MA3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주어진 <보기>를 살펴보면,

ㄱ. 음이온인 A-의 전하가 -1이므로, 금속 M의 산화수인 m = 3 입니다. (거짓)

ㄴ. 결정에서 금속 이온은 단순 입방 배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

ㄷ. 단위세포의 금속 이온과 가장 밀접한 거리에 놓인 입자는 A- 이온입니다. A- 이온과는 그림에 표현된 바와 같이 a/2 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2a 위치에 떨어진 입자는 해당 금속 이온과 대각선 위치에 놓인 금속 이온입니다. 금속 이온은 총 동일 평면 4개, 위 층 4개, 아래층 4개총 12개입니다. (참)

2020 PEET 19 이온결정구조 풀이

 


 

20번 답 ①

자세한 풀이 과정은 이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stachemi.tistory.com/71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20번 풀이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20번 풀이 개요 반응의 자발성은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G )를 통해 판단할 수 있습니다. 깁스 자유에너지 변화(△G )는 반응 엔탈피 변화(△H )와 엔트로피 변화(△S ),..

stachemi.tistory.com

 


* 본문 설명 중 잘못된 부분에 대해 지적해주시면, 참고하여 수정,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문제의 출처는 http://www.kpeet.or.kr 한국약학교육협의회 사이트입니다.

 

[다음 글]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21번~25번)  : https://stachemi.tistory.com/104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21번~25번)

2020 PEET 화학추론(일반화학) 기출문제 풀이 (21번~25번) 이전 문제(1번~20번) 풀이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번~5번 : https://stachemi.tistory.com/93 6번~10번 : https://stachemi.tistory.com..

stachemi.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