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학 실험

(3)
DPPH를 이용한 항산화능 분석 0. 들어가기  고등학교에서 화학을 주제로 제대로 된 탐구를 하기에는 이런저런 어려움이 많다. 실험실 환경, 시간 제약, 물질의 제한 등으로 인해, 잘해봐야 간단한 일반화학실험 수준을 넘어서기 어렵다. 그나마 동아리 활동 등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기초 실험으로 아스피린 합성하고, 나일론 합성하고, 녹차, 커피, 에너지 드링크 속에서 카페인을 추출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너무 보편화되어 학생들의 과학 활동으로 너무 흔하게 되다 보니, 욕심 있는 학생들은 한 단계 더 높은 탐구를 찾아 이것저것 시도하면서 자신의 열정과 우수성을 어필하려 한다.  블로그에 고등학생을 위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법에 대한 글(129)을 작성한 때가 2020년인데, 이후 지능형 과학실 도입과 맞물려 무선 센서 형태..
신호등 반응 (인디고 카민의 산화-환원 반응) 0. 들어가기  지역 과학축전에서 신호등 반응을 주제로 부스 운영을 하게 되었다. 학생들끼리 먼저 주제를 결정했고, 그 이후에 지도 교사로 배정되었다. 사실, 이전에도 신호등 반응을 몇 차례 경험하기는 했었지만 크게 관심을 두지는 않았었다. 이미 아주 오래전부터 다수의 과학 축전이 열릴 때마다 등장하는 단골 주제이고, 다양한 시계 반응(clock reaction) 중 한 가지 정도로만 가볍게 생각했을 뿐이다. 유초등생이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과학축전의 취지를 고려했을 때, 화학 변화에 따른 신기함과 놀라움이 활동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데, 흥미 위주 활동에는 온전하게 집중하지 못하고, 남들이 먼저 했던 주제는 아무 이유 없이 그냥 하기 싫은, 쓸데없이 진지하고 피곤한 내 성향 때문이었지 싶다.  ..
청사진 만들기 (Cyanotype) 청사진 만들기 (Cyanotype) 1. 시아노타이프 (Cyanotype, 청사진) 영국 천문학자인 존 허셜(John Herschel, 1792-1871)에 의해 시아노타이프가 최초로 개발되었다. 이후 최초의 여성 작가 안나 앳킨스(Anna Atkins, 1799-1871)에 의해 1843년부터 사진 분야에 이용되었다. 시아노타이프를 우리말로 바꾸면, '청사진(blueprint)'이다. 철 3가 이온(Fe3+)이 포함된 유기산 염의 감광성*을 이용한다. 사용되는 시료가 비교적 저렴하고, 과정이 간단하여 토목·건축·기계 등의 도면 복사에 주로 활용되었다. * 감광성(photosensitivity) : 빛에 의해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하는 성질 복사할 그림이나 도면을 트레이싱지*에 그린 뒤, 감광지 위에 ..